본문 바로가기
Linux

리눅스 공부를 위한 세팅하기(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 2

by 개철 2023. 11. 3.

1편 링크: https://dogfe.tistory.com/14

 

우선 Oracle VM VirtualBox를 켭니다.

혹시라도 인스톨시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뜬다면 Microsoft Visual C++ 2019 Redistributable을 다운받아주셔야합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cpp/windows/latest-supported-vc-redist?view=msvc-170

 

지원되는 최신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다운로드

이 문서에서는 최신 버전의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패키지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를 나열합니다.

learn.microsoft.com

위 링크에 가셔서 2019버전이 포함되어 있는 링크를 다운받은 뒤 다시 인스톨 합시다.

 

아무튼 Oracle VM VirtualBox를 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그러면 새로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맨위의 이름란에는 아무렇게나 이름을 써주시고

종류는 Linux, 버전은 Ubuntu (64-bit)를 고른다음 다음버튼을 눌러줍시다.

 

기본메모리는 2048로 세팅되어있는데 제 컴퓨터는 여유가 좀 있어 4GB로 세팅했습니다. 2048로 해도 아마 무리는 없을듯합니다. 프로세서는 건드리지 않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다음화면입니다.

지금 새 가상하드 디스크 만들기 라디오버튼을 선택한 뒤 디스크 크기를 설정해줍니다.

용량이 여유가 없다면 10GB정도를 할당해도 충분하지만 넉넉하게 20GB이상을 할당해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25GB를 할당했어요.

 

그리고 미리 전체 크기 할당의 경우 디스크크기를 동적으로 관리할 것인지 정적으로 관리할 것인지 정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각각 아래와 같은 장단점이 있으니 본인에 맞게 체크하시거나 해제하시거나 하시면 됩니다.

  1. 미리 전체 크기 할당 (Allocate the entire disk space now):
    • 장점: 이 옵션을 선택하면 가상 디스크 공간이 처음에 모두 할당되므로 성능 면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가상 디스크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동적으로 크기가 조절되지 않아 디스크 작업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향상됩니다.
    • 단점: 이 옵션을 선택하면 호스트 시스템에서 실제 디스크 공간을 모두 할당해야 하므로 디스크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초기 디스크 생성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2. 미리 전체 크기 할당하지 않음 (Do not allocate):
    • 장점: 이 옵션을 선택하면 초기 디스크 생성 시간이 빠릅니다. 실제 디스크 공간은 가상 머신이 필요한 만큼만 사용되며 동적으로 할당되므로 호스트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을 덜 사용합니다.
    • 단점: 가상 디스크가 동적으로 크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을 확보해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적 크기 조절 시 디스크 작업의 성능에 약간의 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설정했다면 다음부터는 별다른 설정없이 넘기고 완료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도구 밑에 내가 만든 가상머신이 생성됩니다.

이제 우분투 ISO 파일을 연결하기 위해 클릭한 뒤 설정을 눌러줍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저장소섹션으로 이동하고, CD/DVD 아이콘 옆의 굽힐 디스크 이미지를 클릭한 뒤, 디스크 파일선택에서 다운로드한 우분투 ISO 파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 뒤 시작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가상머신에서 우분투 설치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러면 설치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하고 우분투 설치를 클릭해주면 됩니다.

 

 

그 뒤로는 별다른 설정없이 기본 설정으로 설치를 해주면 됩니다. 

위 창에서 경고문이 있다보니 좀 께름칙할 수도 있겠지만 방금 만든 빈 가상디스크에 대한 얘기이므로 여러분이 이미 쓰고 있던 기타 파일을 삭제하겠다는 말이 아니니 안심하고 지금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를 시작합시다.

 

모든 과정을 마치고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타나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생각보다 포스트가 길어졌군요. 그래도 이 글 보시는 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세세하게 쓴다고 쓴 것이니 양해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공부를 위한 세팅하기(Oracle VM VirtualBox, Ubuntu) 1  (0) 2023.11.02
커널(Kernel) & 쉘(Shell)  (0) 2023.10.31
운영체제(Unix, Linux)  (0) 2023.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