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

[JSP] JavaScript 이용해서 <table> 표 행과 열 바꾸기 JSP로 작업을 하다보면 DB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Java단에서 데이터를 가공한 뒤 JSP에 뿌려줄 일이 참 많다. 물론 그걸 하기위해 JSP를 쓰는거긴하다. 특히 JSTL(JSTL을 안쓰는 개발자들은 JSP 스크립틀릿과 표현식 등)를 이용하여 List를 뿌려줄 때가 많은데 List안에 List가 있고 뭐 그런식이라면 JSP가 복잡해져서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이 여러겹의 리스트를 표에 뿌려줄 때는 한가지를 유의해야하는데 바로 HTML의 table은 이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있다는 점이다. 즉. 행이 먼저 있고 열이 그다음이라는 것이다. 이 점을 유의하여 다중 list를 쉽게 JSP에 뿌릴 수 있게 클래스를 짜는 것이 JSP 개발자로써 중요한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식으로 클래스를 짜는 것이 뭔.. 2023. 8. 22.
시퀀스(Sequence) 다이어그램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란? 특정 행동이 어떠한 순서로 어떤 객체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 표현하는 행위 다이어그램 - 시스템이 어떤 시나리오로 움직이는지 나타내준다. - API등의 유스케이스를 디테일하게 알 수 있고 타 시스템의 API 호출 등의 로직을 모델링할 수 있어 시나리오 파악에 용이하다. 구성요소 1. 객체와 생명선(Lifeline) 객체(활동 주체)는 직사각형으로 표현 라이프라인은 객체에서 이어지는 점선으로 표현 점선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시간의 경과를 의미 2. 활성박스(Activation Box) aka. 활성(Activation) 생명선상에서 길다란 직사각형으로 표현 현재 객체가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 3. 메세지 메시지는 인스턴스 간 주고 받은 데이터로, 일반적으로 요청과 응답을.. 2023. 7. 17.
유스케이스(Usecase) 다이어그램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스템의 기능, 상호작용과 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 특징 - 제품과 상호작용하여 얻을 수 있는 목표를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요약하고 정의할 수 있다. - 시스템 이벤트의 기본적인 흐름을 모델링할 수 있다. 구성요소 1. 시스템(system) - 개발하고자 하는 것 그 자체 - 시스템의 범위를 정의하며 흐름이 일어나는 영역의 경계를 정의 - 사각형 형태로 표시, 상단에 시스템 이름 정의 2. 액터(Actors) - 시스템 외부에서 시스템과 상호작용하여 특정한 목절을 취하는 객체(사람, 회사, 다른시스템, 외부장비) - 액터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유스케잉스와 상호작용해야함. - 액터이름은 개인적이거나 무언가를 특정 지정 X 1) 프라이머리 액터.. 2023. 7. 17.
JSX 1 JSX란? React에서는 본질적으로 렌더링 로직이 UI 로직(이벤트가 처리되는 방식, 시간에 따라 state가 변하는 방식,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가 준비되는 방식 등)과 연결된다. React는 별도의 파일에 마크업과 로직을 넣어 기술을 인위적으로 분리하는 대신, 둘 다 포함하는 “컴포넌트”라고 부르는 느슨하게 연결된 유닛으로 관심사를 분리한다. React는 JSX 사용이 필수는 아니지만, JavaScript 코드 안에서 UI 관련 작업을 할 때 시각적으로 더 도움이 된다. 또한 React가 더욱 도움이 되는 에러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JSX에 표현식 포함하기 const name = '개철'; const element = Hello, {name}; 위의 코드와 같이 변수를 선.. 2023. 7. 13.